
11일 안동시에 따르면 최근 유럽 야생조류의 AI 발생이 40배 증가(8월까지 1237건, 전년 동기 31건)하고 중국 등 아시아에서도 3배 증가했다.
또 ASF는 2019년 9월 양돈농장에서 국내 첫 발생 이후 지난 6일 강원도 인제군 양돈농장을 마지막으로 총 21건이 발생했다. 야생멧돼지에서는 경기·강원지역을 중심으로 지난 4일 기준 총 1639건이 발생해 양돈농장으로의 전파 위험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구제역 역시 2019년 1월을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추가 발생이 없으나, 중국, 몽골 등 인근국가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지속적이고 세밀한 방역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안동시 평균 항체양성률(소·돼지) : 올해 8월 기준 97.6%/89%)
이에 따라 시는 가금농가 집중 검사를 2주 1회로 확대하고 양돈농가 8대 방역시설 설치 조기 이행, 구제역 일제 예방접종 100% 시행, 소·돼지 생분뇨 권역별 이동제한 등 차단방역에 들어간다.
김석윤 안동시 축산진흥과장은 “악성 가축전염병 차단 방역을 위해서는 농가의 자율방역 실천의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농장과 시설의 출입자 통제와 소독실시, 구충·구서 철저, 농장방역시설 강화 등 농장단위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안동시, ‘식량작물공동경영체육성’ 공모 사업 선정

선정대상은 서안동농협과 농업회사법인 (주)밀과노닐다로 전체 사업비 28억 원을 투입해 콩 종합처리장과 밀 단지 시설·장비 및 교육컨설팅을 지원받는다.
정광석 안동시 농정과장은 “콩 선별 및 저장시설 설치를 통해 효율적인 두류 수매가 이루어질 것”이라며 “생산·가공·유통의 원스톱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콩 재배 농가 소득증대와 국산 밀 생산단지가 확대돼 타작물 재배 증가로 인한 쌀 자급률 조정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안동시, 은행나무 가로수 열매 제거 사업 추진

11일 시에 따르면 사업 대상지는 시내 주요 도로변으로 유동인구가 많고 상가 밀집 지역인 경동로 외 6개 노선이다.
사업 규모는 시가지 은행나무 가로수 9100그루 중 11%인 약 1000그루이다.
이선우 안동시 공원녹지과장은 “올해 처음 굴삭기에 진동수확기를 부착해 사업을 진행한다. 기존 수작업으로 하던 작업량과 속도 면에서 더욱 능률적이라 단기간에 많은 작업을 할 수 있어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zebo1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