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사업은 2008년 ‘광역경제권발전 30대 선도프로젝트’에 선정된 이후 추진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경북도는 12일 오후 도청에서 김학홍 행정부지사 주재로 포항시와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 조기 추진 대책 회의를 했다.
이번 회의는 올해 연말 개통 예정인 포항~영덕 간 고속도로 사업에 포함됐지만 경제적 타당성 부족 등의 사유로 미뤄지고 있는 영일만 횡단구간의 조기 추진을 위한 대책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13일 경북도에 따르면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는 포항시 남구 동해면 약전리에서 북구 흥해읍 남송리까지 영일만을 횡단하는 해저터널과 해상교량으로 연장 18㎞, 왕복 4차로 건설될 예정이다.
총사업비는 약 3조2000억원이 투입된다.
건설은 2013년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간의 총사업비 협의 과정에서 국가재정부담 및 국도대체우회도로 활용 가능성 등의 사유로 영일만 횡단구간을 제외한 포항 흥해읍에서 영덕IC구간(30.9㎞)만 확정하고 현재 공사를 추진 중이다.
이에 경북도는 포항~영덕 간 고속도로의 총사업비 변경을 통해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가 건설되도록 국회와 중앙부처 등을 찾아가 지속해서 설득했다.
그 결과 2021년 국토교통부의 타당성 조사를 가졌으며, 2022년 기획재정부와 총사업비 변경 승인 협의를 거쳐 국비 반영을 시켰다.
하지만 2023년 기획재정부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를 기점으로 현재까지 추진이 지지부진한 상태다.
게다가 어렵게 확보한 2025년 예산 1821억원이 지난 정부 추경 편성에서 전액 삭감되면서 사업 취소에 대한 불안감이 조성되기도 했다.

영일만항을 북극항로 개척에 대비한 신북방경제의 핵심 관문과 동해안 에너지산업의 물류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가 필수적인 사업임을 설득한 것이다.
특히 서해안 고속도로와 남해안 고속도로 완공으로 형성된 L자형 국가도로망을 앞서 개통된 포항~울산 고속도로와 연말 개통 예정인 포항~영덕 고속도로를 이으면 U자형 국가도로망을 완성할 수 있다는 점도 상기시켰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는 끊어진 동해안의 맥을 잇고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반드시 추진돼야 하는 사업이라는 논리다.
경북도는 이를 바탕으로 포항시와 함께 국회와 중앙부처에 지속적으로 방문해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의 건설 당위성을 건의하고 조속한 노선 결정을 촉구할 방침이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북극항로 개척과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는 필수적인 사업”이라며 “올해 안 사업 확정을 목표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