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12·3 비상계엄 사태에 가담한 혐의를 받는 가운데 경찰에 출석해 밤샘 조사를 받고 19일 귀가했다.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전날 오후 2시쯤 이 전 장관을 내란 혐의 피의자로 소환 조사했다. 이 전 장관은 약 18시간이 지난 이날 오전 7시 40분쯤 귀가했다.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당시 언론사 단전‧단수를 지시한 혐의(내란)를 받는다.
이 전 장관은 조사 과정에서 대체로 묵비권을 행사하지 않고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새벽 4시쯤부터는 3시간 넘게 피의자 신문조서를 열람‧수정했다. 경찰은 이 전 장관에게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단전‧단수 지시를 받았는지, 이를 이행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당일 이 전 장관에게 ‘자정쯤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MBC, JTBC, 여론조사꽃을 봉쇄하고 소방청을 통해 단전‧단수를 하라’는 내용이 기재된 문건을 보여줬다고 보고 있다.
지난 16일 경찰은 이 전 장관의 내란 혐의와 관련해 대통령 집무실 폐쇄회로(CC)TV 등을 압수수색할 계획이었다. 대통령경호처와 10시간 넘는 대치 끝에 철수했다. 대통령경호처가 임의제출 방식으로 일부 자료를 제출하고 수사에 협조하기로 하면서 이를 집행하지는 못했다. 앞서 2월 18일에는 경찰이 이 전 장관의 자택과 집무실을 압수수색한 바 있다.
경찰이 확보한 소방 당국 관계자들의 참고인 조사 진술, 지난 2월 18일 이 전 장관의 자택과 서울‧세종 집무실 등에서 확보한 압수물을 포렌식한 결과 등을 토대로 조사가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장관은 지난 2월11일 헌법재판소의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에 증인으로 나서 “단전·단수 지시를 받은 적 없다”고 관련 의혹을 부인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