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 노사가 올해 임금협상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는 가운데 노조 측이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사측이 진전된 초과이익분배금(PS) 기준 등을 제시했으나 노조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 전임직 노조와 사측은 전날(28일) 이천캠퍼스에서 열린 ‘2025년 10차 임금교섭’에서 이 같은 내용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PS는 연간 실적에 따라 매년 1회 연봉의 최대 50%(기본급의 1000%)까지 지급하는 인센티브다.
올해 초부터 SK하이닉스는 성과급 지급을 두고 노사 간 이견이 존재했다. SK하이닉스는 2021년부터 전년 영업이익의 10%를 재원으로 삼아 개인별 성과 등을 연계해 PS를 지급해왔다.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영업이익 23조4673억원)을 기록한 SK하이닉스는 연초 구성원들에게 올해 초 기본급 1500%의 PS와 격려금 차원의 자사주 30주를 지급했다. 반면 노조와 구성원들은 이보다 높은 수준의 특별성과급 등이 지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사측은 지난달 8차 교섭에서 PS의 상한선 기준을 1700%로 상향하고, 1700%를 지급하고 남은 영업이익 10% 재원 중 50%를 구성원들의 PS 재원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남은 재원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5년 적금방식’과 ‘2년+3년 연금방식’ 등 두 가지 방식을 제안했다.
이번 교섭에서 사측은 실적과 성과에 상응하는 성과주의 보상 원칙하에 기존 제시안에서 진전된 PS 기준을 추가 제시했다. 영업이익 10% 내 당해 연도 지급한도 재설정이 가능하고, 지급 한도 초과분 규모 및 지급 방식은 추가 논의하자는 입장을 전했다.
이번 10차 교섭에서 사측은 8차 교섭 때의 기존 제시안을 고수하지 않고 유연하게 조정할 의지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노조는 영업이익 10%를 모두 성과급으로 지급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성명문을 통해 “회사는 기존에 제시했던 낮은 임금 인상안과 성과급 기준안에서 단 한 치도 물러서지 않고 고수했다”며 “어떤 조정 의지도, 타협 노력도 보여주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10차 본교섭을 끝으로 2025년 임금교섭의 결렬을 공식 선언한다”며 “지금부터 우리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한 강경 투쟁의 최종 국면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