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내 초·중·고교에 설치된 대부분의 전기차 충전시설은 빗물에 젖고 먼지만 쌓여있는 위험천만한 고철덩이로 방치되고 있습니다”
경기도의회 전석훈 도의원은 21일 도내 각급 학교에 설치됐지만 관리가 부실하거나 방치된 전기차 충전시설 사진을 공개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전 의원이 이날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화성시 청목초등학교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시설은 빗물에 노출되어 있어 최근 내린 폭우로 손잡이는 물에 젖어 있고, 충전기 안쪽은 먼지가 수북이 쌓여 있다.
화성시 영천초등학교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시설은 설치된 지 2년이 넘었지만, 단 한 번도 사용된 적이 없다. 학교 내에 전기차를 운행하는 직원이 1명 있지만 집 근처 충전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인근 아파트 주민들도 거리가 멀다는 이유와 학생들 안전 문제 등이 부담스러워 이용하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성남시 대장초등학교의 경우에는 전기차 충전시설에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고, 충전기 코드선을 아예 빼놓았다. 학생들이 장난칠 수 있다는 안전상의 이유다. 학교 측에 따르면 대장초등학교는 과밀학급으로 전체 주차장 수가 부족하고, 주차장 확보에 대한 민원으로 인해 전기차 주차 공간을 일반 주차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전 의원은 “경기도의 120여개의 초중고에 전기차 충전시설이 정부 방침에 따라 설치됐지만, 학교 측은 화재에 대한 불안감을 떨쳐버릴 수 없는 상황이고, 전기차 충전시설 업체는 충전시설에 대한 관리감독을 전혀 진행하고 있지 않아 불안한 위험시설로 방치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 의원은 경기도 내 초·중·고교에 전기차 충전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반대하는 조례안을 지난 6월 상정했지만 일부 의원들의 반대로 보류된 상황이다. 조례안 심사 통과를 위해 의원들을 설득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 의원이 당시 발의한 조례안에는 총 1291건의 찬성 댓글이 달리면서 이슈화하고 있다.
경기도도 전 의원 조례안에 대해 부정적인 상황이다. 경기도는 친환경자동차법에 따라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초·중·고에도 전기차 충전시설을 설치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전 의원은 최근 도의회 5분발언을 통해 “미래 사회를 위해 전기차 충전시설의 확대는 중요한 사항이다. 하지만 학교 공간의 본질은 안전이며, 미래사회의 주인공인 학생들의 안전이 전기차 충전시설의 확대보다 중요하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전 의원의 조례안이 완성되지 못할 경우, 내년부터 경기도 내 총 850개의 초·중·고에 전기차 충전시설을 설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