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줄여 확정했지만 의료계는 정부의 의료개혁 정책을 철회해야 한다며 실력행사에 나섰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20일 서울 중구 숭례문 일대에서 ‘의료 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궐기대회’를 개최하고 정부의 의료 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의협이 주최하는 대형 집회가 열린 건 지난해 6월 이후 10개월여 만이다. 이날 궐기대회에는 사직 전공의, 의대생, 개원의, 의대 교수 등 의협 추산 1만5000명이 모였다.
김택우 의협 회장은 대회사를 통해 “지난 1년간 정부는 의대 정원 확대라는 명분을 내세워 무리하게 정책을 밀어붙였다. 의학 교육은 사라졌고, 현장은 혼란뿐”이라며 “우리가 지키려 했던 가치가 회복될 수 없다는 판단 때문에 후배들은 돌아갈 수 없다. 정부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을 수만은 없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이제 후배들과 선배들, 전국의 의사들이 함께 나설 차례다. 지역의료, 필수의료의 붕괴는 미래가 아닌 현재의 모습”이라며 “수가 체계는 여전히 비정상이고, 정부는 의사 탓만 하고 있다. 의대는 제대로 가르칠 수도, 배울 수도 없는 절망의 공간이 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의사가 의료의 제3자가 돼 가는 걸 더 이상 두고볼 수 없다. 이제 정부가 응답하길 바란다”면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 당국은 과오를 인정하고 책임 있는 사과와 수습책을 내놔야 한다”고 했다.
의료개혁 정책을 전면 재논의할 것도 요구했다. 김 회장은 “의대생과 전공의가 교육 현장으로 돌아오게 하려면 무엇부터 바로잡아야 하는지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며 “의료를 파괴한 정권은 책임을 다해야 한다. 무책임하게 다음 정권으로 미루려는 행동은 용납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집회 참석자들은 “잘못된 의료개혁, 대한민국 붕괴된다”, “정상적인 의대 교육, 정부가 보장하라”, “의료붕괴 책임자들, 즉각 사퇴하라”, “무분별한 의대 증원, 의료 환경 파괴된다” 등의 구호를 제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