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의 경선 후보들이 충청권 권리당원 투표를 앞두고 정견을 밝혔다.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첫 번째 순회경선 지역인 충청권(세종‧대전‧충북‧충남) 권리당원 투표를 위한 후보자 합동연설회가 19일 오후 충북 청주체육관에서 열렸다.
이재명 “동등한 기회‧정당한 몫 있는 ‘진짜 대한민국’ 열 것”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충청 사위’를 자처하며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정부 모두 충청의 선택으로 탄생했다. 충청의 선택으로 이번에 반드시 네 번째 민주정부가 탄생할 것”이라고 충청 표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이번 대선을 반드시 이겨야 하는 역사적 책무를 가지고 있다”며 “3년 전 국운이 걸린 대회전에서 저의 부족함 때문에 우리가 패했다. 미세한 차이로 승리했지만 모든 것을 차지한 저들은 나라를 망치고 국민을 고통 속으로 몰아넣었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그 고통 속에서 더 깊이 성찰하고 더 지독하게 준비했다”며 “내란을 온전히 극복하고 완전한 희망의 새아침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균형발전’ 실천으로 누구나, 어디서나 동등한 기회를 누리고 노력에 상승하는 정당한 몫을 보장받는 ‘진짜 대한민국’을 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충청권 발전도 약속했다. 이 후보는 “대전과 충청이 앞서가는 ‘과학기술강국’의 길이 바로 대한민국이 선도해 갈 미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 2차 공공기관 이전으로 세종을 ‘행정수도 중심’으로 완성하겠다. 헌법 개정 등 난관도 있겠지만 사회적 합의를 거쳐 대통령실과 국회의 완전 이전도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끝으로 “대통령은 지배자가 아니다”라며 “군림하는 권력자가 아니라 국민의 충직한 도구가 되려는 이재명, 역경 속에서 더 단련되고 더 준비된 저 이재명에게 기회를 달라”고 호소했다.
김경수 “AI‧기후경제‧인재양성 국가 투자해 혁신 성장 생태계 만들 것”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충청은 이제 지리적으로도 정치적으로도 ‘중앙’”이라며 “역대 어느 선거든 충청은 ‘승리의 바로미터’”라고 강조했다. 이어 “‘빛의 연대’로 정권을 교체하고, 빛의 연정으로 ‘나와 우리, 모두의 정부’를 만들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AI와 디지털 전환, 기후경제 선도, 인재 양성 3대 축을 중심으로 국가 투자를 할 것”이라며 “AI와 디지털을 활용해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혁신 기업이 성공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 것”이라고 했다. 이어 “기후 위기에 적극 대응해 에너지 전환을 이뤄내고 연간 50만개의 양질 일자리를 만들어 내겠다”고 했다.
충청권 발전에 대해서는 “행정수도 이전과 국가균형발전은 노무현 대통령의 꿈이었다”며 “행정 수도의 꿈을 이제는 완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내란의 본산인 용산 대통령실을 단 하루라도 사용해서야 되겠느냐”며 “가장 빠른 시일 내에 행정수도의 꿈을 완성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행정수도 이전은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부울경, 대구경북 5대 권역으로 이루어진 5대 메가시티 자치정부의 시작이 될 것”이라고 했다.
끝으로 김 후보는 “영남 민주당으로 지역주의의 벽을 넘어왔다”며 “노무현의 꿈 행정수도, 김경수의 꿈 메가시티를 여러분과 함께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김동연 “트럼프와 3번 협상…기득권 깰 경제 대통령”
김동연 전 경기도지사는 ‘충청에서 나고 자란 충청 사람’임을 강조하며 “충청사람으로 반듯하고 당당하게 살아왔다. 기재부에서도 오직 일머리 하나로 인정받은 ‘흙수저’ 출신”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는 기획재정부 관료로서의 이력에 무게를 두고 지지를 호소했다. 김 후보는 “경제 위기와 싸워 이기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1998년 IMF, 2008년 금융위기, 2017년 탄핵 후 경제위기, 매번 위기의 한복판에서 해법을 찾았다. 경제부총리 때 트럼프 대통령과 3번 마주 앉아 한미 FTA와 환율 협상에 당당히 임했고 성공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되면 기득권부터 깨겠다”고 약속했다. 김 후보는 “대통령실, 기재부, 검찰 3대 권력기관을 해체 수준으로 개편하겠다. 공직사회와 법조계의 ‘전관 카르텔’도 혁파하겠다”고 했다. 이어 “대기업은 일자리, 노동자는 유연화, 정부는 규제개혁 3자가 서로 주고받는 3각 빅딜로 불평등 경제를 극복하겠다”고 했다.
충청 발전에 관해서는 “대통령 당선 즉시 대통령실을 세종으로 옮기겠다”며 “취임하는 당일부터 세종에서 일하겠다. 국회, 대법원, 대검찰청까지 충청으로 옮기겠다”고 했다. 이외에도 “충북, 충남, 대전에 대기업 도시 3개를 건설하고 대기업 일자리와 연계해 서울대 3개를 만들겠다”고 했다.
끝으로 김 후보는 “충청이 김동연을 선택한다면 압도적 정권교체를 선택한 것”이라며 “경제대전환을 선택한 것이고 국민 통합을 선택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변화의 바람을 일으켜달라”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