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루마니아에서의 방산 현지화 전략을 본격화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6일 루마니아 부쿠레슈티공과대학, 한국 부산대와 3자 산학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자주포 생산을 위한 기술 및 인력 확보에 나선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세 기관은 △현지 인력 채용 △R&D센터 설립 △산학 장학생 및 인턴십 지원 △교환학생 프로그램 운영 등 다방면에서 협력할 계획이다. 이는 한화가 2027년부터 루마니아에서 K9 자주포 생산을 시작하기 위한 기반 마련의 일환이다.
배진규 한화 루마니아법인장은 "현지 인재 양성과 경제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부쿠레슈티공대 총장은 "글로벌 방산기술 협력의 기회"라며 기대를 표했다.
◆STX엔진, LNG 이중연료 엔진 ‘L35/44DF CD’ 형식 승인 완료…상용화 본격화
STX엔진은 독일 MAN 에너지솔루션(MAN ES)과 공동 개발한 차세대 LNG 이중 연료 엔진 ‘L35/44DF CD’에 대한 형식 승인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시험은 4월 7~11일 창원 본사에서 세계 6대 선급(LR, ABS, DNV, BV, CCS, CR)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신형 엔진은 기존 모델(L35/44DF CR)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연비 향상과 온실가스 감축 기능을 대폭 강화했다. 특히 ACC(Adaptive Combustion Control) 시스템을 적용해 메탄 슬립을 최소화하고 실시간 연소 제어를 구현했다.
STX엔진 관계자는 "기존 대비 출력이 약 16% 높은 기통당 560kW로, 엔진 수를 줄여 공간 효율성과 유지 보수성이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양사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업그레이드를 통해 미래 연료 시장 대응에 협력할 계획이다.
◆중진공 부산경남연수원, 볼보그룹 협력사 대상 디지털 전환 연수 운영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부산경남연수원은 16일 볼보건기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미래제조 디지털전환 연수’를 운영했다.
볼보건기회는 볼보그룹코리아 협력업체들의 모임으로 대경기업, 성진산업사, 성동산업, 한텍 등 90개사가 참여하는 창원 지역 대표 기업인 단체다. 이번 연수는 약 160명의 회원사가 참석한 가운데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과 지속 가능한 동반성장을 실현하겠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연수는 △AI 및 빅데이터 기술의 전망 △제조업의 미래 대응 전략 등 디지털 전환(DX)에 필요한 핵심 내용으로 구성됐다. 특히 미래기술 선도기업들의 사례를 통해 국내 제조업이 안고 있는 약점을 진단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한편 중진공 부산경남연수원은 경영·기술·스마트 연수 과정을 비롯해 AI, 빅데이터 등 미래기술 분야 교육도 지속적으로 개발·운영하며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경남TP-창원대 G-LAMP 사업단, 나노 소재 및 센서 분야 협력 강화
경남테크노파크(원장 김정환, 이하 경남TP)와 국립창원대학교 G-LAMP(Global Leading Advanced Materials Platform) 사업단 첨단나노과학기술연구소(소장 곽진성)가 17일 경남TP 스마트센싱유닛실증센터에서 나노 소재 및 센서 분야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산학연 활동 교류 △연구 및 기술 협력 △인력양성을 위한 자원 및 시설 공동 활용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양측은 이번 협력이 경남지역 나노소재 및 센서 기술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남TP는 2021년부터 센서 분야 실증 플랫폼을 기반으로 스마트센싱유닛실증센터를 운영해오며, 관련 전문기업 육성에 힘쓰고 있다.
◆창원문성대, 청년 고용정책 설명회 개최
창원문성대학교(총장 이원석) 고교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사업팀은 16일 한국과학기술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부 청년고용 정책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취업을 앞둔 학생들에게 정부의 청년고용 활성화 정책과 다양한 지원 제도를 안내하고, 실질적인 진로 설계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내용으로는 △청년내일채움공제 △국민취업지원제도 △직업훈련 연계 프로그램 등이 소개됐다.
한편 창원문성대 고맞고(고교 맞춤형 고용서비스) 사업은 지역 고등학생의 성공적인 사회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진로상담, 모의 면접, 취업 역량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