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4분기 네이버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28.3%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대비 17.6% 늘었다.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도 매출은 11.2%, 영업이익은 11.0% 증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5조3041억원, 영업이익은 1조2153억원을 달성했다. 지난해 네이버의 연간 매출액은 2019년 4조3562억원 보다 21.8% 늘었다. 영업이익도 2019년 1조1550억원과 비교해 5.2% 즈가했다.
지난해 4분기 사업 부문별 매출은 서치플랫폼 7702억원, 커머스 3168억원, 핀테크 2011억원, 콘텐츠 1389억원, 클라우드 856억원으로 집계됐다.

커머스는 스타트제로수수료, 성장 단계별 마케팅 포인트 지원, 비대면 디지털 전환 교육 프로그램 확대 등의 노력으로 SME들이 디지털 환경에 안착하고 빠르게 성장했다. 이에 따라 전분기 대비 11.0% 성장한 3168억원을 기록했다. 커머스 부문 연간 수익은 전년 대비 37.6% 성장한 1조897억원이다.
이외에도 네이버는 규모 있는 판매 및 마케팅에 매우 효과적인 쇼핑라이브를 도입하고, 관련 교육과 라이브 인프라를 무상으로 지원하는 등 다양한 지원책을 통해 SME들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핀테크는 스마트스토어 성장과 외부제휴처 확대에 따른 네이버페이의 성장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15.6% 성장한 2011억원이다. 핀테크 부문 연간 수익은 전년 대비 66.6% 성장한 6775억원을 기록했다. 콘텐츠는 웹툰의 글로벌 성장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로는 20.9% 성장한 138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연간 콘텐츠 부문 매출은 4602억원으로 전년 대비 48.8% 성장했다.
라우드는 클라우드 수요 확대 및 라인웍스의 글로벌 성장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12.2% 성장한 856억원을 기록했다. 클라우드 부문의 연간 수익은 전년 대비 41.4% 성장한 2737억원으로 집계됐다.
네이버 한성숙 대표는 “코로나19 위기 속 네이버의 기술과 서비스를 활용해 일상의 단절로 인한 이용자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개인 창작자, SME들과 함께 의미 있는 성장을 실현한 한 해였다”며 “SME와 창작자들의 디지털 경쟁력을 높이는 첨단 기술 기반의 스마트 도구를 개발하는 데 집중된 연간 25% 규모의 R&D 투자를 더욱 높여가는 등 적극적인 연구개발, M&A, 제휴를 통해 네이버가 아우르는 생태계를 확장하고, 사용자‧SME‧창작자들과 함께 성장해 나가기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겠다”고 말했다.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