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합참](https://kuk.kod.es/data/kuk/image/2024/05/16/kuk202405160139.300x169.0.jpg)
[속보] 합참 "북, 동해 상으로 미상 탄도미사일 발사"
합참 "북, 동해 상으로 미상 탄도미사일 발사"... [정혜선]
호국보훈의 달인 6월, 군·국방·안보를 둘러싼 여야 정치권 공방이 거세다. 더불어민주당이 ‘채상병 특검법’ 재발의를 시작으로 대북확성기 재개를 비판하자 국민의힘은 9·19 군사합의 실효... 2024-06-11 11:00 [임현범]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만약 한국이 국경 너머로 삐라(대북전단) 살포 행위와 확성기 방송 도발을 병행해 나선다면 의심할 바 없이 새로운 우리의 대응을 목격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10일 김여정 부... 2024-06-10 06:09 [정혜선]
북한의 3차 대남 오물풍선 살포에 모든 부대가 휴일에도 비상근무 체제에 들어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방부는 9일 국방부 본부는 물론 모든 부대의 직원 및 장병에게 평일처럼 정상근무를 하라고 긴급 지시했... 2024-06-09 10:45 [이준범]
북한이 남측을 향해 오물 풍선을 다시 띄웠다. 이후 수도권 곳곳에 풍선 잔해와 함께 폐종이‧쓰레기들이 발견되면서 군 당국과 경찰이 수거에 나섰다.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8일 밤 11시쯤 기자단 공지를 통해 ... 2024-06-09 06:42 [이영수]
탈북민단체 자유북한운동연합이 대북전단 20만 장을 살포했다.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는 경기도 포천에서 지난 6일 새벽 0시~1시 사이 애드벌룬 10개에 전단 20만 장과 함께 USB 5천 개, 1달러짜리 지폐 2천 ... 2024-06-07 06:37 [이영수]
합참 "北 발사 탄도미사일은 단거리 추정 10여발" 정혜선 기자 firstwoo@kukinews.com... 2024-05-30 07:15 [정혜선]
합동참모본부는 30일 북한이 미상의 탄도미사일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고 밝혔다. 탄도미사일 기준으로는 지난 17일의 단거리 1발 발사 이후 13일 만이다. 이 탄도미사일은 300㎞를 날아갔다. 군은 현재 이 미사일... 2024-05-30 06:52 [정혜선]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대남 오물풍선을 두고 “대한민국에 대한 삐라(전단) 살포가 우리 인민의 표현의 자유에 해당한다”며 “성의의 선물로 여기고 계속 주워 담아야 할 것”이라고 비아냥... 2024-05-30 05:17 [정혜선]
북한이 최근 트로트 가수 김연자의 노래를 듣지도 부르지도 못하게 하라는 지시를 사법 기관에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25일 북한 전문 매체 자유아시아방송(RFA)은 함경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을 통해 최근 ‘... 2024-05-25 11:19 [김은빈]
합참 “북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발사”... 2024-05-17 15:40 [민수미]
북한이 수도권을 겨냥하는 신형 240㎜ 방사포(다연장로켓포의 북한식 표현)를 올해부터 인민군에 배치하겠다고 밝혔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전날 기술 갱신된 240㎜ 방사포 무기체... 2024-05-11 15:04 [박효상]
북한이 금강산 관광지구 안에 있는 소방서를 완전히 철거했다. 20억 원이 넘는 한국 정부 예산이 투입된 건물을 없앤 것이다. 10일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금강산 지구 내 우리 정부 시설인 소... 2024-05-10 20:31 [최은희]
북한에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3대에 걸쳐 체제 선전을 주도했던 김기남 전 노동당 선전선동 담당 비서가 사망했다. 8일 조선중앙통신은 "2022년 4월부터 노환과 다장기기능부전으로 병상에서 치... 2024-05-08 08:07 [정혜선]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도하에 초대형방사포를 동원한 핵반격가상종합전술훈련을 실시했다. 2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전날 진행된 훈련이 ‘핵방아쇠’라 부르는 국... 2024-04-23 06:36 [정혜선]
권혜진 기자 hjk@kukinews.com... 2024-04-22 15:22 [권혜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방북 중인 중국 공산당 서열 3위 자오러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을 만나 협력 강화 의지를 내비쳤다. 13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 2024-04-13 21:18 [김한나]
KAIST 연구진이 과음으로 인한 간 손상이 발생하는 세포 신호 전달 원리를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KAIST 의과학대학원 정원일 교수 연구팀은 서울대 보라매병원 김원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진행해 음주로 유발되는 간세포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이 꿈의 암 치료로 불리는 카티(CAR-T) 세포 치료를 최근 시작했다고 7일 밝혔다. 카티 세포 치료는 환자의 체내에 있는 면역세포(T세포)가 암세포를 찾아 정확히 표적하는 방식이다. 체내 정상세포
골절 위험이 매우 큰 환자에게는 골형성 촉진제를 우선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 현행 보험 급여 기준을 개선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제언이 나왔다. 김범준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23일 열린 제16차 대한골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