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측은 말이 양어장이라고 하지만 이런 것들은 도저히 용납될 수 없는 것이다. 맞대응하지 않으면 중국은 절대 철수하지 않는다”
중국정치학 박사로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안보특보를 맡았던 더불어민주당 이병진 의원은 계간 '한중저널' 2025년 여름호에 실린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앞서 중국은 심해 연어 양식 시설이라며 서해 잠정조치수역에 선란 1호(2018년)와 2호(2024년)를 설치했다. 2022년에는 관리 시설이라며 석유 시추 설비 형태의 구조물도 설치했다.
이병진 의원은 “중국이 남중국해도 자기 영해처럼 하듯이 서해를 내해화하는 일련의 작업이 될 수도 있다”며 “우려하는 포인트 중의 하나는 이것이 군사 목적으로 활용될 소지가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스프래틀리 군도(중국명 난사군도·필리핀명 칼라얀군도)처럼 암초를 확대해서 활주로를 만드는 상황도 전혀 배제할 수 없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구조물 하나 만드는 데 600억원 정도 들어간다고 한다”며 “추경 논의에서 관련 예산을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또한 “우리는 최소한 하나는 해야지 비례 대응이 가능하다”며 “여기서 또 물러나게 되면 중국 측이 추진하는 서해의 내해화 작업은 지속적으로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2019년 8월에 창간한 한중저널은 중국 근무 경험이 있는 언론사 특파원을 중심으로 외교관, 경제인, 연구인이 함께 만드는 한중 관계 전문 계간지다.
이번 호에는 이재명 정부 출범을 계기로 한중 관계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기 위한 전문가들의 대중협력 모델 제안 등이 실렸다.